본문 바로가기

프리티어 만료2

AWS 프리티어 만료 계정 전환작업 - 下 HTTPS 보안 문제 해결 RDS연동이 끝났으니 마무리 작업을 해보도록 하자. 일단 성공적으로 생성된 인스턴스로 돌아와서 미리 빌드해뒀던 프로젝트를 배포해보도록 하자. 성공적으로 배포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다음은 인스턴스의 보안 그룹 설정을 해주도록 하자.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도메인을 새 계정으로 옮길 수도 있다. Route53으로 들어가서 등록된 도메인에서 도메인 이전을 시도할 수 있다. 필자는 이전 계정으로 도메인을 구매했기에 새로운 계정으로 이전하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하는 작업이니, 추후의 https 설정과 큰 관련이 없다. 암호는 예전 계정의 도메인으로 진입해 송신 버튼을 눌러서 암호를 취득하면 된다. 송신처리가 완료되면 아래와 같은 문구가 뜬다. 도메인 이전이 성공한 것을 볼 수 있다. .. 2023. 8. 31.
AWS 프리티어 만료 계정 전환작업 - 上 AWS를 사용하며 생긴 일들 AWS를 사용하면서 많은 문제점들을 마주하게 되었다. 가장 처음에는 HTTPS 보안 이슈가 있어서 많은 고생을 했었고, 그 뒤엔 프리티어에 대한 비용정책을 잘 몰라서 생겼던 AWS Free Tier usage limit 이슈가 있었다. 다시 봐도 심장이 떨린다. EC2와 RDS, ELB 등 무료로 사용 할 수 있는 서비스는 프리티어와 별개로 사용 시간 / 용량의 상한이 정해져있어서, 프리티어 계정을 사용한다고 해도, 무료 할당량을 초과한다면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불행하게도, 이런 문제점들을 사전에 알리가 없는 AWS린이는 (본인) 수시로 메일을 체크하지 않았다면, 적게는 몇백원이, 많게는 치킨값이 넘는 비용을 지불해야되는 불상사가 일어날 수 있다. 여담으로, AWS를 사용하.. 2023. 8. 31.